ETF 투자에 관심이 있지만 "언제 사고, 어떻게 사야 하지?" 고민되시나요? 최근에는 자동으로 정해진 금액을 주기적으로 ETF에 투자해주는 자동 투자 기능이 확산되면서 초보자도 쉽게 장기 투자를 실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ETF 자동 투자에 유용한 국내 주요 앱과 플랫폼 5곳을 소개합니다.
1. 토스증권 – 적립식 매수 기능
토스 앱 안에서 간편하게 ETF를 검색하고, 매주/매월 정해진 날짜에 자동 매수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초보자도 직관적인 UI 덕분에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습니다.
- 장점: 사용 편의성 최상, 소액 자동 투자 가능 (1천 원부터)
- 단점: ETF 정보는 비교적 단순함
2. 한국투자증권 미니스탁 – 소수점 자동 투자
미니스탁 앱은 ETF 소수점 자동 구매 기능이 있어, 미국 ETF에 매일 일정 금액을 자동 투자할 수 있습니다.
1달러 단위로도 투자 가능해, 초보자와 사회초년생에게 특히 적합합니다.
- 장점: 해외 ETF 자동 투자에 최적화
- 단점: 고급 분석 기능 부족
3. NH투자증권 나무 – 적립식 매수 + 퀀트 추천
나무 앱은 국내 ETF에 대해 주기 설정 + 자동 투자 기능을 제공하며, AI 알고리즘 기반 퀀트 포트폴리오 추천도 가능합니다.
- 장점: 추천 기반 투자, 국내 ETF 적립식 가능
- 단점: UI가 다소 복잡할 수 있음
4. 카카오페이증권 – 자동 투자 설정 기능
간단한 클릭 몇 번으로 ETF 자동 매수 주기, 금액, 종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카카오페이와 연동되어 자금 흐름이 매우 간편합니다.
- 장점: 사용 편의성, UX 설계 우수
- 단점: ETF 상품 다양성은 상대적으로 제한적
5. 불릴레오 (Bulllo) – AI 기반 ETF 자동 투자
불릴레오는 AI 알고리즘이 시장 상황에 따라 ETF 비중을 조정하며 자동 투자하는 로보어드바이저 플랫폼입니다.
단순 적립식이 아닌, 시장 예측 기반 자동 리밸런싱이 특징입니다.
- 장점: 리밸런싱 자동 수행, 전략적 자산 배분
- 단점: 사용료 일부 발생 (0.5% 내외)
ETF 자동 투자, 왜 중요할까?
자동 투자는 시장 타이밍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평균 매입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. 이를 “달러 코스트 에버리징(Dollar Cost Averaging)” 전략이라고 하며, 감정적 투자 실수를 줄이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.
추천 설정 예시
- ETF: KODEX 200
- 매수 주기: 매월 10일
- 매수 금액: 100,000원
- 기간: 최소 1년 이상
이렇게 자동화하면 투자 습관을 기를 수 있고, 장기적으로 복리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.
마무리
ETF 자동 투자 기능은 초보자가 장기 투자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훌륭한 도구입니다. 자신에게 맞는 플랫폼을 골라 소액이라도 꾸준히 투자하는 습관을 들여보세요. 시간이 쌓이면 자산도 함께 성장할 수 있습니다.
다음 글에서는 자동 투자 시 리밸런싱과 포트폴리오 구성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